광역급행버스 M6117
최근 수정 시각: ()
1. 개요 [편집]
2. 노선 정보 [편집]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6117번 | |||||
기점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양곡터미널) | 종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이화여대입구) | ||
종점행 | 첫차 | 04:3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3:10 | 막차 | 00:20 | ||
평일배차 | 10~25분 | 주말배차 | 20~40분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14대 |
3. 역사 [편집]
4. 특징 [편집]
- 한강신도시와 서울을 잇는 노선 중에서 최초로 김포 시가지를 거치지 않고 김포한강로와 올림픽대로를 통해서 바로 서울로 직행하는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운행 초기에는 7대로 시작하여 비교적 긴 배차 간격으로 이용에 불편이 있었지만, 24대까지 증편하면서 배차간격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 비록 수요가 줄긴 하였으나 김포 골드라인의 극심한 혼잡도 문제, 인천국제공항철도 또한 혼잡도가 심한 노선이다보니, 차라리 착석이 보장되는 광역버스 수요가 여전히 있기 때문에 고정수요가 있다. 거기에 더해 철도로 수요가 빠져나간만큼 이 노선의 감차도 이루어져서 다시 만석을 채우는 일도 종종 일어나고 있다.
-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 대책의 일환으로 경기도에서 시행한 2층버스 시범운행 노선으로 선정되었다. 2014년 12월 1주 동안 운행하였는데 2층 버스 한정으로 초당마을 정류장 대신 장기고등학교 정류장에 정차하는 것으로 노선을 변경하여 운행하였다. 또한, 서울 방향의 인가 경로는 여의하류IC에서 노들로로 진입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운행시간 단축을 위해 당산철교를 지나자마자 바로 노들로를 거쳐 양화대교로 진입하고 있다. 다만 이후에 정식으로 2층버스가 운행되지는 않았다.
- 출근시간대에 예약버스가 운행했으나 현재는 M6427번에서만 운행한다.
- 노선의 종점이 서울역이기에 광역급행버스의 7.5km 내의 종점부 6개 정류장 설치 규정으로 인해 이대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 당산역광역환승센터가 개통되었으나 이 노선은 여기를 경유하지 않고 종전 경로로 노들로로 들어간다. 이용객들의 혼선과 사고 우려 등의 이유로 통과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5. 연계 철도역 [편집]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6. 둘러보기 [편집]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
개인정보 처리방침
임시조치 및 기타 문의: [email protected]
떡밥위키 후원하기